news
임상발표자료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소화기연구소

홍수진, 이준성, 임희혁, 황경란, 정인섭, 유창범, 김진오, 이문성, 심찬섭, 김부성

 

대한내과학회2002.10  53차 추계학술대회 Vol 63.

 

 자기장 치료는 인체주위에 자극코일이 장착된 트렌스듀서를 위치하고 코일에 정현파 전류를 흘려 주변 인체조직에 정현파 전류를 유도함으로써 근육이나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전기자극기 치료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최근 의자형 자기장 치료기가 보급되면서 요실금, 근육통 등의 질환에 옷을 입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항문직장 기능성 질환에 있어서 자기장 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아려져 있지 않고 적응증 또한 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항문직장 기능성 질환에 있어서 자기장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아 그 적응대상 질환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12명의 항문직장 기능성 질환 환자(평균연령 : 49.5±14.7, 남자:여자= 7:5)를 대상으로 항문직장 생리검사를 마친 후 자기장치료기 (BioCon-2000, ㈜엠큐브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50Hz (3 on, 6 off, 강도 70-100%) 30분간 자극을 주었고 주 2회씩 총 8회를 시행하였다. 치료 전후에 증상에 대한 검증 된 설문지를 작성하고 증상 점수를 구하였고, 치료 후 가능한 경우는 항문직장 생리검사를 다시 시행하였다. 질환에 따른 치료효과를 보면 변실금 4(2예는 척추 수술 후 발생)는 변실금 점수(0-22)가 평균 8.5(4-9)에서 0점으로 모두 개선되었고(p<0.05), 이중 1예는 4회 치료 후 증상의 완전소실로 더 이상 치료를 원하지 않아 중지하였다. 직장 항문통을 호소하였던 2예의 일과성 직장통(proctalgia fugax) 1예는 7회 치료 후 통증 점수(0-6) 4점에서 0점으로 증상이 소실되었고, 1예는 3점에서 2점으로 개선되었으며, 부가적으로 두예 모두 배변시 과도한 힘주기 증상이 개선되었다. 변비환자 6예는 골반저 조율장애로, 이중 2예는 좌측대장지연형 변비가 동반되어 있었는데 5개의 변비증상으로 짜여진 변비증상지수(0-30) 19.3±6.3점에서 14±5.3점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63). 각 증상 별로 볼 때 항문이 막힌듯한 느낌이 주로 개선되었고 치료 후 항문내압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항문직장 기능성 질환 환자에서 자기장 자극 치료는 변실금에서 좋은 효과를 보여 주었고, 기능성 직장항문통과 기능성 변비 중 골반저 조율장애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나, 장기간 추적 관찰 및 각 질환군에 따른 자극 빈도, 강도, 시간 등에 대한 연구 및 대조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